메뉴 건너뛰기

배경이미지

398. 그리스도인의 사회참여 - 목회자코너 - 루이빌새한장로교회

조회 수 296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10-28-12

398. 그리스도인의 사회참여

 

매년 10 31일은 북미주에서 할로윈데이축제를 하며 어린이들을 위한 행사를 합니다. 동시에 기독교인들에게는 종교개혁일로 기념하기도 합니다. 어린 자녀들을 둔 크리스천 부모들은 이 비기독교적인 할로윈데이축제에 자녀들을 보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하시는 분들이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크리스천 부모들을 위하여 할로윈데이축제의 유래를 소개해 드리고, 단순히 참여할 것인가 그렇지 않을 것인가에 대한 수준에 머물지 말고 크리스천으로서 만물의 창조주 하나님의 입장에서 생각하며 좀더 균형잡힌 크리스천의 사회참여에 대하여 나누고자 합니다. ‘할로윈데이에 대하여,

 

이 유래를 좀 더 살펴보면 기원 전 5세기경 켈트족이 거주하던 지금의 아일랜드 지방과 북부 유럽의 지역은 겨울이 길어 10 31일을 여름의 마지막으로 보고 11 1일을 새로운 해의 첫날로 기념했었다. 수확의 계절이 끝나고 어둡고 추운 겨울이 시작 되는 이 10 31일을 당시 사람들은 산자와 죽은 자의 경계가 불분명 해 진다고 믿었다. 죽은 사람들의 혼령이 다시 땅으로 내려와 농사를 망치게 하고 사고를 일으키고 살아 있는 사람들의 몸을 빌려 거처를 마련한다고 믿었다. 따라서 온 마을 사람들은 이 날 육체를 점령 당하지 않기 위해 난방을 중단하고 몸을 차갑게 해서 혼령으로부터 몸을 보호했다. 그리고 귀신처럼 분장을 하고 시끄럽게 마을을 돌아다님으로써 기거할 육체를 찾아 헤매는 혼령들을 놀라 달아나게 했다. (출처: “할로윈데이 유래와 의미,” http://www.joongang.ca/bbs, 10-24-2012)

 

현재 할로윈데이축제는 비기독교인과 악마주의자들이 그들의 최고 기념일로 정하고 축제를 하는 행사이기 때문에 기독교인의 참여는 당연히 신중하게 생각해야 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영혼 구원하여 제자 삼는 일을 사명으로 삼고 있는 기독교인은 예수님의 복음을 누리지 못하고 있는 VIP들을 찾아 나설 수 있는 기회가 된다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복음주의 신학자요 목회자인 존 스토트 박사의 책 <균형잡힌 기독교>(새물결플러스 출판) 75쪽에서 프래드릭 캐서우드 경의 말을 인용해 드립니다. “사회를 개혁하려는 노력은 세속적인 것이 아니라 사랑이다. 사회에서 손을 떼는 것이야말로 사랑이 아니라 세속적인 것이다.” 같은 책 79쪽에서 마틴 루터 킹 목사는 기독교는 천국과 세상을 동시에 다룬다. 인간의 영혼에만 관심을 표명하고 뒷골목에 전혀 관심이 없는 기독교는 무의미하다고 말합니다.

이번 할로윈데이에는 종교개혁의 의미를 되새기며 그들에게 다가가 먼저 사귀고, 훗 날 그들을 우리 모임 가운데 초대하는 기회로 삼는다면 예수님은 어떻게 생각하실까요? P.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 399. 교회건물 계약이 완료되었습니다 김상헌 2012.11.04 2996
» 398. 그리스도인의 사회참여 김상헌 2012.10.27 2967
23 397. PCA 한인중부노회를 다녀와서 김상헌 2012.10.27 5441
22 396. 사역부서 자원봉사자 지원 김상헌 2012.10.13 2939
21 395. 영성회복과 휴가를 동시에 김상헌 2012.10.07 2802
20 394. “행복은 쟁취하는 것” 김상헌 2012.09.29 3178
19 393. 함께 나누고 싶은 것 두 가지 김상헌 2012.09.22 3268
18 392. 함부로 말할 수 없는 것 김상헌 2012.09.16 3263
17 391. ‘911 중보기도 지원’ 김상헌 2012.09.08 3157
16 390. ‘루이빌’ 알아가기 김상헌 2012.09.02 3201
15 389. 예수님의 신호등 비유? 김상헌 2012.08.25 4167
14 388. 궁금증에 대하여 김상헌 2012.08.18 3012
13 387. 회교도(무슬림)에 대한 이해 김상헌 2012.08.12 3553
12 386. 성도들에게 보여드리고 싶은 목사의 속마음 김상헌 2012.08.07 3270
11 385. 건물을 갖게 된 후 김상헌 2012.07.29 3500
10 384. 가능성을 열어놓고 기다립시다 김상헌 2012.07.22 3532
9 383. 수련회를 통하여 기대되는 일 김상헌 2012.07.17 3591
8 382. 처음 경험 김상헌 2012.07.08 3492
7 381. 큰 일 이루셨습니다 1 김상헌 2012.07.01 3465
6 380. 구겨진 가치를 일깨워 주는 사역 김상헌 2012.06.23 3354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ext
/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