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배경이미지

477. 아이들에게 건강한 식탁의 그림을 - 목회자코너 - 루이빌새한장로교회

조회 수 148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5-18-2014

477. 아이들에게 건강한 식탁의 그림을

 

건강한 가정을 만들어 나가고 자녀들에게 건강한 가정을 이어가도록 도울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생각하며 지내는 달입니다. 마침 이수관 목사님의 , “아이들은 건강한 식탁의 그림이 있어야 합니다” (출처: 휴스턴 서울교회 목회자 코너 85)에서 목사님은 페인 (Leanne Payne) 이라는 분이 <치유의 임재 >(The Healing Presence)라는 책의 내용을 소개하면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전해주고 있어서 소개합니다.

인간은 상상하는 존재이고 우리의 언어 자체가 사물을 끝없이 상징화하기 때문에, 우리는 모든 것을 상징과 이미지로 머릿속에 간직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뭔가에 대해서 건강한 상징을 가지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아버지라는 단어가 상징하는 바가 있고, 건강한 아버지에 대한 이미지가 머릿속에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없을 가치관의 혼선이 일기 시작한다는 것입니다. 성도착증이나 동성애 같은 것은 건강한 아버지와 어머니 상이 없는 사람에게서 발견된다.(같은 페이지)

그러면서 목사님은 우리가 머릿속에 가지고 있는 식탁의 이미지가 중요하다 것을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어떤 사람은식탁 떠올리면 많은 가족들-할아버지, 할머니, 부모님, 그리고 삼촌들- 모두 모여 마주 앉아 웃고 대화하며 먹는 이미지를 가진 사람은 다른 면에서도 건강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만일어떤 사람이식탁 떠올릴 항상 혼자 밥을 먹고 있는 모습, 혹은 아버지나 어머니중 분이 없는 모습이 보이는 경우, 의식이 다른 곳에 미칠 영향은 생각보다 크다 합니다.

제가 글을 읽으면서 정말 우리 자녀들에게 매주 번씩 모이는 목장이 얼마나 소중한가를 다시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매주 가정들이 식구가 되어 돌아가며 모여서, 함께 식사를 나누며 웃기도 하고 떠들기도 하며, 식사가 끝난 후에는 같이 둘러 앉아서 감사했던 , 힘들었던 , 관심을 가졌던 일들에 대하여 자녀들의 얘기를 들어주고, 가운데 모아놓고 돌아가며 기도해 주고, 이런 환경에서 자라는 아이들이 가질 식탁의 이미지는 풍성함 자체라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목사님의 다음과 같은 내용을 통하여 저의 마음도 전합니다. “형제가 없이 자라는 요즈음의 아이들, 아버지가 바빠서 같이 식사할 있는 기회가 많이 없는 환경에서 자라는 아이들, 대가족을 경험하지 못하고 자라는 우리 아이들에게 목장은 없이 중요한 가치를 만들어 줍니다. 바쁜 현대의 생활 속에서 목장이 시간 낭비라는 이유로 떠나는 사람들, 아이들이 일찍 잠자리에 들어야 하는데 목장이 방해가 된다는 이유로 떠나는 사람들을 보면서 작은 때문에 세상의 어떤 것도 없는 포기할 없는 소중한 것을 포기하는구나 하는 생각에 안타깝습니다.” 목장에서 꼭 자녀들과 함께 식탁에 둘러 앉아 나누시기 바랍니다. P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477. 아이들에게 건강한 식탁의 그림을 김상헌 2014.05.18 1489
104 476. 다음은 우리 차례입니다 김상헌 2014.05.13 1192
103 475. 졸업식과 인사 드리러 다녀옵니다 김상헌 2014.05.03 1292
102 474. 아름다운 섬김과 준비를 위하여 김상헌 2014.04.27 1412
101 473. 기독교는 현실도피 종교다? 김상헌 2014.04.19 1718
100 472. 부활절 VIP 초청 김상헌 2014.04.13 1560
99 471. 이분을 소개합니다 김상헌 2014.04.05 2056
98 470. 사순절 기간중 다니엘 금식 방법 김상헌 2014.03.29 2868
97 469. ‘정기노회’가 있다는데, 그게 뭐지요? 김상헌 2014.03.22 2572
96 468. 우리 가운데 이러한 분이 있는 이유 김상헌 2014.03.15 1843
95 467. 사순절 기간 중 우리는 무엇을 하는거죠? 김상헌 2014.03.08 1997
94 466. 영적 습관 만들기(5): “사귐의 기도” 김상헌 2014.03.01 2709
93 465. 영적 습관 만들기(4): “다니엘 금식기도” 김상헌 2014.02.22 4239
92 464. 영적 습관 만들기(3); “금식기도” 김상헌 2014.02.15 3032
91 463. 영적 습관 만들기(2); VIP명단 만들기 김상헌 2014.02.09 2293
90 462. 영적 습관 만들기(1)-세겹줄 기도 김상헌 2014.02.01 2351
89 461. 반복하는 가정교회 네 기둥과 세축 학습 김상헌 2014.01.25 2791
88 460. 우리교회 사역과 직분을 구분한다면 김상헌 2014.01.18 2441
87 459. 10년간 표어를 뒤돌아 보며 김상헌 2014.01.12 2373
86 458. 임명되는 직분자들에게 김상헌 2014.01.05 2165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ext
/ 30